안녕하세요, 아티앤바나나 영문법 복습 일지 입니다.
복습 일지인 만큼 불필요한 정보들은 제거하고, 정말 책에서도 강조하는 내용을 위주로 정리하고,
제가 중요하다가 생각하는 정보도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DAY1
영어 문장 구성요소 네 가지 & 자주 쓰는 문법 표현
| S = 주어 | 동사의 주체 -> 명사류 |
| V = 서술어(동사) | 동작/행위/상태 -> 동사류 |
| O = 목적어 | 동사의 대상 -> 명사류 |
| C = 보어 | 보충해주는 말 -> 명사류 / 형용사류 SC = 주격보어 OC = 목적격보어 |
DAY2
| 1형식: S + V -> 완전자동사 |
| 2형식: S + V + SC -> 불완전자동사 |
| 3형식: S + V + O -> 완전타동사 |
| 4형식: S + V + IO + DO -> 수여동사 |
| 5형식: S + V + O + OC -> 불완전타동사 |
S는 주어, V는 서술어로 흔히들 '동사'라고 말한다.
모든 문장에 주어와 동사가 꼭 들어가야 한다.
I am Arty -> 나는 아티에요.
I am from France -> 나는 프랑스에서 왔어요.
I like Korean food -> 나는 한국음식을 좋아해요.
한국어에서는 대부분 생략하는 이런 주어를, 영어에서는 꼭 써줘야 한다. EX) 나 밥 먹어(영어), 밥 먹어(한국어)
자동사/타동사
자신을 뜻하는 '스스로 자' 다른 대상을 가리키는 '다를 타'
자동사는 S인 자기 자신과 동사 V(서술어, 동사) 만 있으면 된다.
자동사: 명사가 나타내는 동작이 주어에만 미치는 동사
타동사: 동작의 대상인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여기서 진행하는 것들은 상위 DAY2를 간단히 보고 내려오시길 바랍니다.
1형식 S + V / 완전자동사
A baby(S) sleeps(V) / 아기는 잔다.
She(S) runs(V) / 그녀는 달린다.
God(S) exists(V) / 신은 존재한다.
I(S) stand(V) / 나는 서 있다.
It(S) works(V) / 그것은 작동한다.
It(S) fits(V) / 그것은 딱 맞는다.
2형식 S + V + SC(주격보어) / 불완전자동사
C보어는 '보충 설명하는 친구다' 불완전 자동사라 부르는 이유는 완벽한 자동사라 하기엔 부족한 점이 있고,
타동사 그룹에 넣으려니 목적어가 없어서 그렇다.
I'm a doctor / 내가 의사고, 의사가 바로 나! 즉 나는 의사 a doctor가 SC(주격보어)이다.
내가 의사라는 이유는 명사가 나타내는 동작이 주어에만 미치는 동사이기 때문에 그렇다.
She(S) is(V) cute(C) / 그녀는 귀엽다.
보어는 주어와 동격이거나 주어의 상태를 그대로 보여주는 역할을 해요.
다른 대상을 이야기해야 하는 타동사 그룹에는 들어갈 수 없다.
주어를 보충 설명하는 역할이라는 뜻으로 '주격보어'라고 한다.
3형식 S + V + O(목적어) / 완전타동사
타동사에는 타인, 타자를 의미하는 '스스로가 아닌 어떤 것' 이 와야 한다.
'타인/타자'의 역할로 오는 것이 바로 '목적어'이다.
He had a hamburger / 그는 햄버거를 먹었다.
목적어에는 주어와 관련 없는 다른 것이 온다.
I study English / 나는 영어를 공부한다.
I drink coffee / 나는 커피를 마신다.
He knows them / 그는 그들을 안다.
5형식 S + V + O + OC(목적격보어) / 불완전타동사
I(S) found(V) the lecture(O) difficult(OC) / 나는 그 수업이 어렵다고 생각했어.
'그 수업이 어려운 거고 = 어려운 게 그 수업' 이다. 목적격보어는 목적어의 상태를 설명하면서 추가로 설명을 보충한다.
It(S) makes(V) me(O) special(OC) / 그것은 만들어 나를 특별한 상태로 / 내가 특별하고, 특별한 게 바로 나!
He makes me happy / 그는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 -> 나=행복한 상태
You make me laugh / 너는 나를 웃게 만들어 -> 나=웃는 상태
4형식 S + V + IO + DO / 수여동사
IO(간적목적어: indirect object), DO(직접목적어: direct object)
뭔가를 준다고 할 때 많이 쓰는 표현이다. 수여동사는 '주다동사' 라고 부르기도 한다.
EX) 이 상을 수여합니다. / 학위를 수여합니다.
'누구한테 줬는지'를 표현하지 않으면 듣는 사람이 도리어 되물을 수 밖에 없다.
IO(간접목적어) 자리에는 '받는 사람'의 정보가, DO(직접목적어) 자리에는 주어지는 '대상'
추가로 4형식이 3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직접목적어만 남겨두면 되기 때문이다.
[4형식] I(S) gave(V) him(IO) a book(DO) / 나는 그에게 책을 주었다.
[3형식] I(S) gave(V) a book(DO) / 나는 책을 주었다.
IO는 ~에게 / DO는 을/를 도 중요하다.
4형식과 5형식과 내가봐도 헷갈리는 것 같다.
[4형식] I(S) made(V) you(IO) a cake(DO) / 나는 너에게 케이크를 만들어주었다.
~에게 ~를 주다 로 해석
[5형식] I(S) made(V) you(O) a doctor(OC) / 나는 너를 의사로 만들었다.
목적어와 목적격보어가 동격이거나 비슷한 상태로 해석
오늘의 바나나 퀴즈
나는 솔직히 아티앤바나나 책의 설명은 너무나도 훌륭하다, 모든 영어 문법을 다 알필요 없고, 필요한 것들만 설명해주는 느낌이 강하다.
하지만 바나나 퀴즈에서는 내가 문제를 풀었을 때 그에 대한 설명이 없고, 정답만 떡하니 있다. 살짝 아쉽다.
[1형식]
귀신은 존재해 / Ghosts exist
모든 사람은 죽어 / All men die
이 기계는 작동해 / this machine works
[2형식]
나는 귀여워 / I'm cute(SC)
우리는 고등학생이야 / We are high school student
너는 성공적인 가수가 될 거야 / You will be a successful singer / 이것도 왜 will이 오고, be동사를 사용했고, successful 이라는 형용사와서 성공한 singer라고 표현하는 것 같은데 이러한 설명이 없다는 게 너무 아쉽다.
| 친구한테 물어보니 will 조동사 (can, could, must) | be는 동사원형 | successful 형용사라 SC앞에 올 수 있고, 내가 2형식이라고 간단히 올 것 같다 라고 생각한 게 잘못 된 것이고, 부 적인 문법은 올 수 있다는 걸 항상 기억해야 한다.
[3형식]
아티는 바나나를 그리워해 / Arty misses banana
나는 바나나를 만났어 / I met banana
[4형식]
그가 나에게 1달러를 줬어 / He gave me a dollars
바나나는 나에게 영어를 가르쳐줘 / Banana teachs me english
[5형식]
그는 나를 행복하게 만들어 / He makes me happy
엄마는 나를 공주라고 불러 / My mom calls me princess
해설강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