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에 만들었던 EC2 웹 서버를 AMI 로 생성하여 EC2 서버를 2개 만들겠습니다.
AWS EC2(VPC, 서브넷, 키 페어, 보안그룹) 구현 - 2
웹 서버 EC2(Elastic Compute Cloud) 이해하기 EC2는 AWS 클라우드에서 확장 가능한 컴퓨팅 용량을 제공합니다. EC2를 사용하면 하드웨어 선투자할 필요가 없어 더 빠르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newbiecs.tistory.com
이렇게 사용하는 케이스는 보통 로드밸런서를 구현하여 2개의 EC2 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 합니다.
AMI
AMI 개념
Amazon Machine Image(AMI) 는 인스턴스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인스턴스를 시작할 때 AMI를 지정해야 하는데 동일한 구성의 인스턴스가 여러 개 필요할 때는 한 AMI를 사용하여 여러 인스턴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AMI 생성
전에 만들어놓았던 EC2 를 클릭합니다.
작업 - 이미지 및 템플릿 - 이미지 생성을 클릭합니다.
이미지 이름을 입력하고, 맨 아래있는 '이미지 생성'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AMI 메뉴를 클릭하면 만들어진 EC2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구성한 아키텍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AMI 기반 인스턴스 생성
AMI 메뉴에서 상태 변경이 완료되면 AMI로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름은 아까 설정했던 'Tim 2' 로 설정하겠습니다.
그 아래 '애플리케이션 및 OS 이미지' 는 카탈로그의 AMI 를 선택하면 됩니다.
인스턴스 유형도 저희는 프리티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프리티어 사용가능' 유형을 유지하겠습니다.
키 페어(로그인) 한 마디로 인스턴스를 연결 할 때 키 페어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연결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네트워크 설정' 입니다.
여기서 VPC 는 default 로 선택되어 있을 것 입니다.
저희가 생성한 VPC 'Tim-vpc' 로 변경해줍니다.
다음으로 서브넷을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지금 떠 있는 EC2 는 -2a 를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AMI 으로 새로 만드는 것은 -2c로 설정하겠습니다. 또 퍼블릭 IP 자동 할당은 비활성화로 설정되어 있는 활성화로 변경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방화벽(보안그룹)' 은 기존 보안 그룹 선택을 해서 생성한 'Tim-sg' 를 선택합니다.
마지막으로 인스턴스 시작을 누르면!
현재까지 아키텍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로드밸런서를 생성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evops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핵심 서비스 Hands-on 구축 (0) | 2022.10.13 |
---|---|
AWS Load Balancer(VPC, 서브넷, 키 페어, 보안그룹) 구현 - 4 (1) | 2022.09.19 |
AWS EC2(VPC, 서브넷, 키 페어, 보안그룹) 구현 - 2 (0) | 2022.09.15 |
AWS VPC(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보안그룹) 구현 - 1 (0) | 2022.09.14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S) - 인스턴스 생성, 연결 (0) | 2019.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