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터미널 환경에서의 서버 연결
- 파일 전송을 위한 연결
- 프로그램 개발 도구 사용을 위한 원격 연결
1. 터미널 환경에서의 서버 연결
AWS Console에서 인스턴스를 누르면 사전에 생성한 인스턴스의 상태 가동 영역 등등 인스턴스의 상태를 보여준다.
내가 사용할 인스턴스를 클릭하면 퍼블릭 DNS(IPv4) 라고 적힌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될 점은 서버를 종료 후 다시 부팅할 경우 IP 주소 및 도메인 주소가 변경된다.
다음은 SSH 포트에 대한 외부 접속 허용 여부 확인이다.
EC2 인스턴스는 각 인스턴스별로 보안 그룹을 가지고 있으며, 보안 설정 역시 보안 그룹을 단위로 이루어진다.
앞서 생성했던 EC2 인스턴스에서 보안 그룹을 구성하였으며, SSH 대해서는 외부 접속을 허용하였다.
하지만 AWS는 단순히 SSH 만으로는 연결이 불가능하며, 앞서 생성한 접속 인증 키 페어를 사용해야만 접속이 가능하다.
터미널 환경에서의 서버 연결 역시 해당 키 페어 파일은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제가 주로 사용하는 git bash를 이용하여 SSH로 연결해보겠습니다.
ssh -i mypollss.pem ubuntu@퍼블릭 DNS 주소
를 타이핑하게 되면 yes/no 를 묻는 질의문이 나오는데 여기서 Y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Devops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MI(VPC, 서브넷, 키 페어, 보안그룹) 구현 - 3 (1) | 2022.09.19 |
---|---|
AWS EC2(VPC, 서브넷, 키 페어, 보안그룹) 구현 - 2 (0) | 2022.09.15 |
AWS VPC(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보안그룹) 구현 - 1 (0) | 2022.09.14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S) - 인스턴스 생성, 연결 (0) | 2019.09.13 |
AWS 기본 개념 (0) | 2019.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