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의 종류 : 브라킷, 서브마린, 아톰 . . . 자기에게 맞는 에디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글크롬에서 F12 버튼을 누르면 개발자 모드로 들어가지고, console 에 script구문을 입력하면 바로바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에디터로 작성 시에는 파일을 만들어 test.html html 확장자로 저장시키고, 해당 폴더에가서 실행시키면 안에 적어놓은 명령어가 실행된다.
숫자
alert(1+1); // 1+1 의 값이 알림창으로 출력된다.
수의 연산
Math.pow(3,2); // 9, 3의 2승
Math.round(10.6); // 11, 10.6을 반올림
Math.ceil(10.2); // 11, 10.2를 올림
Math.floor(10.6); // 10, 10.6을 내림
Math.sqrt(9); // 3, 3의 제곱근
Math.random(); // 0부터 1.0 사이의 랜덤한 숫자
문자
alert("coding everybody")
alert('coding everybody')
alert('egoing's coding everybody')(x)
alert('egoing\'s coding everybody')(o) \(역슬레시) 뒤에있는 문자 하나는 그냥 정보로서 해석한다.
문자열은 " " 와 ' ' 로 묶어서 사용하면 된다.
*typeof는 값의 데이터 형을 알려주는 기능이다.
alert(typeof "1") "string" 이라고 나온다, " " 문자열이기 때문이다.
alert(typeof 1) "number" 이라고 나온다, 따옴표가 없는 숫자는 number 로 출력된다.
문자연산
alert("coding \n everybody"); \n은 줄바꿈을 의미하는 특수한 문자이다.
alert("coding"+" everybody"); 문자와 문자를 더할 때
alert("coding everybody".length) 문자의 길이를 구할 때
"code".indexOf("c") // code 의 c는 0번 째 문자열이다, 그 숫자가 출력되는 것이다. ex) "o" 가 된다면 출력값으론 1이 출력된다.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cript] 주석 (0) | 2018.05.10 |
|---|---|
| [script] 변수 (0) | 2018.05.10 |
| DAY6 (0) | 2018.04.13 |
| 객체 지향 언어 (0) | 2018.04.06 |
| int[] = {1,2,3,4}; (0) | 2018.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