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함수명() {
코드
return 반환값
}
function numbering(){    i = 0;    while(i < 10){        document.write(i);        i += 1;    }   }
numbering(); // 호출기능alert(a); // 알람으로 사용
언제든지 해당 기능을 재실행 할 수 있게, 재활용성
함수의 입력과 출력
function get_member1(){    return 'egoing';}function get_member2(){    return 'k8805';}alert(get_member1());alert(get_member2());
return 의 특징
1. 함수를 종료시킨다.
2. return 'k8805'; 의 값을 -> get_member2() 함수의 출력값으로 반환한다.
3. return 'egoing';
   return 'Hello';
   return 'geography';
=결과=
'egoing' 만 출력된다.
저런식으로 값이 들어간다.
응용하고자 하면
function get_member1(arg1, arg2){
    return arg1*arg2;
}
alert(get_member1(10, 20));
10, 20의 값이 arg1, arg2 로 들어가고 return 에 적혀있는 수식에 의해 계산되고 get_member1() 로 리턴된다.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isEmpty() (0) | 2018.05.28 | 
|---|---|
| [script] 조건문 (0) | 2018.05.10 | 
| [script] 비교 연산자 (0) | 2018.05.10 | 
| [script] 줄바꿈과 여백 (0) | 2018.05.10 | 
| [script] 주석 (0) | 2018.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