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 /etc/bashrc 설정파일
export HISTTIMEFORMAT="[%y-%m-%d %H:%M:%S]"
vi 에디터에서 ctrl + f 누르면 pagedown 처럼 내려간다.
계정생성
# useradd kbu // kbu 사용자 계정 생성
# passwd -n 0 kbu // 누르면 패스워드 설정하는 안내가 나오고 거기에 입력하면 된다.
http://lklingling.tistory.com/entry/%EB%A6%AC%EB%88%85%EC%8A%A4-passwd-%EB%B3%80%EA%B2%BD-%EC%8B%9C-%EC%97%90%EB%9F%AC
kbu 계정으로 들어가서 # su -l 타이핑해서 root로 전환하는 것이다, root 패스워드 입력
[TIP]
# cat /etc/passwd 패스워드 정보
# cat /etc/shadow 패스워드 정보
패스워드 암호화 해제 pwunconv
# cat /etc/passwd 했을 때 나오지 않았던 암호화 된 정보가 암호화를 해제하니 나온다.
패스워드 암호화 초기화 pwconv
원래 # cat /etc/passwd 했을 때의 정보가 나온다.
계정유저를 옮길 때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는 명령어
그룹생성
# groupadd test
# cat /etc/group 생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
# useradd abc -g test // abc 라는 유저를 생성하고, test 그룹 안에 넣어준다.
권한 r(읽기), w(쓰기), x(실행)
# chmod 777 install.log 모든권한
# chmod 444 install.log 읽기권한yum install 로 너무 많은 명령어를 실행해서 다운로드가 안될 때 . . .
# ps -ef | grep yum // 프로세스 죽이기
# kill -9 [PID번호]# yum install system-config-network-tui 타이핑 시 학교 방화벽 설정 때문에 설치가 안되면 . . .
# vi /usr/lib/python2.6/site-packages/yum/yumRepo.py
:set nu
/agent
# system-config-network-tui // 설치가 잘 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 yum -y install ftp wget xz
# ftp 10.50.193.51
연결되고나서 파일을 내려받으려면 mget, 올리려면 mput (m을 붙여주는게 더 빠르다)
# yum localinstall [파일명] // 로컬에 파일을 설치한다. ex) root 에 저장된다.
# tar -xvzf [m.tar.ge] x 압축을 풀다, v 풀리는 것을 보여준다, z z집으로 압축되는 걸 풀어주고, f 파일명보여주기 // 압축풀기
# tar -cvzf [test.tgz ./] // 압축하기
댓글